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카카오 인증서 발급 방법 간단히 정리했어요

반응형

과거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된 이후 민간 기업에서도 인증서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카카오에서는 카카오톡을 통해 발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카카오 인증서를 출시했는데요. 이번 글을 통해 카카오 인증서에 대한 발급 방법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 인증서 발급 방법

기본적으로 카카오 인증서는 모바일 카카오톡 앱을 통해 발급과 사용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이때 발급은 만 14세 이상의 카카오톡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발급 과정에선 휴대폰 인증과 계좌 인증을 통한 신원 확인이 진행됩니다. 그럼, 자세한 발급 과정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카카오톡 앱을 실행한 후 더보기 메뉴에 접속하여 '인증서'를 선택합니다.

카카오톡의 더보기 메뉴에서 '인증서'를 선택

 

2. 인증서 발급을 위해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

인증서 발급을 위해 이용약관에 동의

 

3. 본인 명의 휴대폰 번호로 본인확인을 진행하고, 은행 계좌로 본인확인을 진행합니다.

본인 명의 휴대폰 번호로 본힌확인을 진행하고, 은행 계좌로 본인확인을 진행

 

4. 신원 확인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인증서에 사용할 My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카카오 인증서의 발급이 완료됩니다.

인증서에 사용할 My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서 발급을 완료

 

발급한 카카오 인증서를 사용하는 방법

카카오 인증서의 발급을 완료하였다면 카카오의 서비스는 물론, 공공기관, 금융기관 등 간편인증의 사용이 지원되는 서비스에서 본인인증이 필요할 때 카카오 인증서를 사용하여 인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실제로 필자가 정부24에서 간편인증 중 카카오톡(인증서)을 선택하여 인증을 요청했을 때 도착한 인증 요청 안내 메시지인데요.

카카오톡으로 도착한 인증 요청 안내 메시지의 '인증하기'를 선택한 후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다시 '인증하기를 선택한 뒤, My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완료

해당 메시지에서 '인증하기'를 선택하면 인증 정보가 표시되며, 여기서 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필수 항목 동의와 함께 '인증하기'를 선택한 뒤, 설정된 My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간단히 카카오 인증서를 통한 인증이 완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정부24는 예시로 설명한 것일 뿐 카카오 인증서를 사용한 인증 과정은 모두 동일합니다.

 

카카오 인증서의 유효기간

발급된 카카오 인증서에는 유효기간이 존재하는데요. 카카오 인증서의 기본적인 유효기간은 3년이며, 유효기간 만료가 도래했을 때는 카카오톡을 통해 유효기간 갱신이 안내되고, 이때 특별한 사항이 없다면 설정된 My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유효기간 갱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카카오 인증서에 설정된 My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증서 사용이 일부 제한되며, 이에 경우 인증서에 남은 유효기간과 관계없이 인증서 삭제 후 재발급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기기를 변경하거나, 기기를 초기화하는 등 카카오톡의 데이터가 초기화되는 경우에는 카카오 인증서가 자동으로 삭제되기 때문에 이에 경우에도 인증서 재발급이 필요합니다.

반응형